Java/study

스캐너와 객체

Clearing 2022. 6. 8. 18:16
728x90

자바에서 사람의 입력값을 전달하기 위한 객체로서 Scanner를 사용하는데 이를 알기 위해선

객체라는 것을 알고 넘어가는 것이 좋다.

 

많이 들어봤다시피 Java 또는 파이썬과 같은 것들을 객체지향 언어라고 한다.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는 클래스에 정의된 내용대로 메모리에 생성된 것을 뜻하는데

int a = 10;, int b = 3.14; 여기서 a와 b는 변수를 나타내며

String c = new String("apple")와 String c = "apple"; 는 같은 의미로서 사용되는데

자바에서는 편의를 위해 후자와 같이 사용한다.

 

여기서 String의 경우 class가 되며 생성된 c는 객체가 된다.

String이라는 클래스를 통해 c라는 객체를 생성하겠다는 것으로 String()라는 함수 안에

재료를 넣어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객체라는 것은 클래스를 통해 생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canner의 사용법은 Scanner (객체) = new Scanner(System.in)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데

출력을 할 때 System.out이 사용되는 것처럼 입력을 위해 System.in 이 사용된다.

 

위와 같이만 타이핑을 한다면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데 스캐너 사용 시에는

java.utill 패키지 경로의 스캐너를 호출해 주어야 한다.

(ctrl + shift + o를 통해 자동 import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값을 받는 등의 행위를 할 때에는 유효성 검사를 통해 항상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자.

 

스캐너 사용 시 객체를 sc라 할 때 sc.nextInt(), sc.nextDouble(), sc.next(), sc.nextLine() 등등

여러 가지 매소드가 존재한다

 

728x90

'Java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어문(반복문)  (0) 2022.06.09
제어문(조건문)  (0) 2022.06.08
연산자(비교, 논리, 삼항)  (0) 2022.06.08
연산자 우선순위  (0) 2022.06.07
변수와 자료형 그리고 연산자  (0) 2022.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