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어 처리(국제화)는 하나의 페이지를 여러가지의 언어로 서비스하는 것으로 과거에는 언어별로 페이지를 다르게 제작하였지만 현재는 이와 같이 사용하지 않는다. -> 프레임워크의 다국어처리기능을 사용(별도 페이지 제작 안 함) 1) 메세지 파일 제작 파일의 확장자는 .properties로 생성 언어 선택을 Locale 정보로 수행하며 파일명에 언어에 해당하는 Locale 코드를 추가한다. ex) xxx_en.properties, xxx_ko.properties, ... 파일 내부에는 메세지 키+메세지 값을 작성한다. (영어를 제외한 나머지 언어는 유니코드로 작성) -> 유니코드 작성은 자동 지원해준다. 파일 생성 위치 소스/메인/리소스 -> message 패키지 생성 -> messageSource_en.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