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Java 53

배열

배열이란 동일한 자료형의 비슷한 데이터들을 연속된 공간에 저장하기 위한 자료구조이다. 연관된 자료들을 묶어 한 공간에 넣는다고 할 수 있다. 배열을 사용하게 되면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한 변수의 선언을 줄여주며 반복문 등과 함께 사용하여 원하는 과정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자료형 [] 객체 = {데이터 1, 데이터 2, 데이터 3,......} 자료형 [] 객체 = new 자료형 [원하는 수] 배열은 위 모습과 같이 사용되며 저장된 데이터들은 인덱스 번호가 주어지며 [0] 번부터 시작된다. ex) 데이터 1 = [0], 데이터 2 = [1], 데이터 3 = [2] 배열을 이용하여 객체에 공간을 할당해주면 데이터 값을 넣지 않아도 초기화를 디폴트로 해준다. 배열의 3요소로는 1) 서로 관련된 데이..

Java/study 2022.06.10

제어문(반복문)

반복문에는 while과 for가 있다. while : 어떤(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계속, ~~ 할 때까지 반복, 무한하게, 영원히 for : N번, N회, a부터 ~ b까지, 배열, 범위가 분명하게 주어졌을 때 위와 같은 상황일 때 주로 사용된다. 반복문을 사용하는 이유로는 재사용되어 중복되는 코드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오류의 파급효과가 줄어들게 된다. while(조건식) { 조건식이 참 일동 안 수행할 문장; } for(초기식;조건식;증감식){ 수행할 문장; } 과 같이 사용되며 if문과 비슷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반복문을 수행하는 중에는 절대로 }를 통과하지 못하며 문장 진행 후 다시 반복문의 조건식으로 이동한다. 그러다 반복문을 수행할 수 없는 조건이 되면 반복문 밖으로 이동된다. ..

Java/study 2022.06.09

제어문(조건문)

제어문에는 조건문과 반복문이 있다. 조건문에는 if와 switch가 있으며 주로 할 때도 있고, 안 할 때도 있는 경우의 뉘앙스로 사용한다. switch로 사용 가능한 문구들은 if로 대체 사용 가능하여 if를 주로 사용한다. (물론 switch가 더 효율적인 경우도 있음) 반복문에는 while과 for가 있으며 2회 이상, N번, N회, 연속적으로, 계속, 무한하게, 여러 번,... 과 같은 경우 사용할 수 있다. if(조건식){ 조건식이 참일 때 수행할 문장; } if문의 경우 위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하며 조건식 1줄만 사용할 경우 {} 생략 가능하지만 가독성을 위해 붙여주도록 하며, 이후 다양한 조건식을 붙이기 위해 else if 와 else를 사용한다. 다양한 조건식들이 들어갈수록 우리는 항상 유..

Java/study 2022.06.08

스캐너와 객체

자바에서 사람의 입력값을 전달하기 위한 객체로서 Scanner를 사용하는데 이를 알기 위해선 객체라는 것을 알고 넘어가는 것이 좋다. 많이 들어봤다시피 Java 또는 파이썬과 같은 것들을 객체지향 언어라고 한다.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는 클래스에 정의된 내용대로 메모리에 생성된 것을 뜻하는데 int a = 10;, int b = 3.14; 여기서 a와 b는 변수를 나타내며 String c = new String("apple")와 String c = "apple"; 는 같은 의미로서 사용되는데 자바에서는 편의를 위해 후자와 같이 사용한다. 여기서 String의 경우 class가 되며 생성된 c는 객체가 된다. String이라는 클래스를 통해 c라는 객체를 생성하겠다는 것으로 String()라는 함수 안에 재료..

Java/study 2022.06.08

연산자(비교, 논리, 삼항)

비교 연산자( , =, ==,!=) 비교 연산자의 경우 수식을 통해 true 나 false 값을 얻을 수 있으며 ==는 같다.!=는 같지 않다를 나타낸다. ex) boolean res = 10!= 11; 이 값을 출력하면 10과 11이 같지 않기 때문에 true 값을 얻을 수 있다. 논리 연산자(and, or, not) and: &&로 사용되고 ~~ 이고, ~~ 이면서 동시에, ~~ 하고 와 같은 뉘앙스로 사용되며 A && B 일 때 A와 B 모두 참일 경우 적용된다. or: ||로 사용되며 ~~ 이거나, 혹은, 또는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A || B 일 경우 A 혹은 B 둘 중 하나라도 참일 경우에 적용된다. not:!로 사용되며 부정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true)의 경우 false로!(fa..

Java/study 2022.06.08
728x90